관자놀이 통증은 주로 긴장성 두통이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생기는데요. 오늘은 왼쪽, 오른쪽 양쪽의 관자놀이 통증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관자놀이 통증 원인
다양한 원인 중 몇 가지 주요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1. 턱관절장애: 입을 벌리거나 말하기, 씹기 등 턱관절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을 말합니다. 턱관절은 턱뼈와 머리뼈 사이에 위치하여 두 뼈를 연결하는 관절입니다. 턱관절장애 원인은 잘못된 습관, 외상, 교합 부조화, 심리적인 이유 등이 있습니다.
턱관절에 가장 안좋은 습관은 이를 꽉 깨물거나 잘 때 이를 가는 버릇과 음식을 한쪽으로 씹거나 입을 자주 크게 벌리는 행동 등이 있습니다. 그 외에 교통사고나 상해에 의한 부정교합, 스트레스, 우울, 긴장, 불안 등이 턱관절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2. 편두통: 일상생활에서 흔히 일어나지만 방해가 될 정도로 통증이 있는 두통, 위장관 증상이 나타나며 한쪽 머리에서 두통이 발생합니다. 편두통은 주로 젊은 여성들에게 많이 발생됩니다.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유전이나 환경적인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규칙적인 습관과 생활이 중요합니다.
3. 간장성 두통: 긴장성 두통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겪는 흔한 두통입니다. 주로 스트레스, 피로, 수면부족 등으로 나타납니다. 긴장성 두통의 증상은 압박감, 조이는 듯한 통증, 두통, 머리나 어때를 짓누르는 느낌이 있습니다.
4. 측두동맥염: 관자놀이 근처에 있는 측두동맥의 염증으로 주로 노인에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 증상으로는 발열, 식욕부진, 졸음, 근육통, 턱관절 통증, 두통 등이 있습니다. 측두동맥염은 혈액검사로 알 수 있으며 염증 수치가 높을 경우 진단할 수 있습니다.
관자놀이 통증 치료 방법
1. 턱관절 장애는 치과, 이비인후과에서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. 턱관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며, 턱관절 장애 치료는 교합치료, 약물치료, 물리치료, 행동치료 등이 있습니다.
2. 편두통은 신경과, 내과, 가정의학과에서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. 주로 약물 치료로 진행되며 전조 증상이 있을 때 빠르게 약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3. 긴장성 두통은 신경과, 내과, 가정의학과에서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. 주로 타이레놀이나 탁센 등 일반진통제에 잘 반응합니다.
4. 측두동맥염은 신경과, 류마티스내과에서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. 주로 스테로이드로 치료하며 주의사항은 장기간 투여할 경우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니 조절이 필요합니다.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화 방지에 좋은 음식 (19) | 2024.05.30 |
---|---|
무조건 땀이 나야 운동 효과가 있을까? (44) | 2024.05.28 |
몸이 가려운 이유는? (40) | 2024.05.22 |
치매를 예방하는 영양소 4가지와 주의사항 (36) | 2024.05.16 |
섬유근육통에 대해서 (1) | 2024.05.10 |